大統史 2 대통사 (大統史) 2

大統史 2

檀君朝鮮

고리국 高麗國 고려국

COREE CHINA COREA

[淸史] 朝鮮自檀君開國 遠友帝堯二十五年戊辰 禹會諸侯於塗山 檀君遣子扶婁朝焉 箕封以後 史傳詳矣

삼전도항복

 

 

[淸史稿] (朝鮮列傳) 朝鮮又稱韓國. 淸初王朝鮮者李琿, 事明甚謹

檀君朝鮮

고리국 高麗國 고려국

COREE

COREA

 

[李朝實錄] - 肅宗 3, 1(1675 乙卯 / 청 강희(康熙) 14) 416(甲辰)

昔東國三分之日, 以高句麗蕞爾之國, 能走隋唐百萬之師, 勝國姜邯賛, 亦擊破丹兵, 此在將相之得人而已

옛날 우리 나라가 삼국(三國)으로 나뉘었을 적에 고구려(高句麗)는 조그만한 나라였지만, 능히 수()와 당()의 백만(百萬)의 군사를 달아나게 하였고, 승국(勝國)에 이르러서도 강감찬(姜邯贊)이 또한 거란(契丹)의 군사를 쳐서 깨뜨렸으니, 이는 장상(將相)에 적임자를 등용했기 때문이다.

승국(勝國) : 全州李氏王朝高麗國家勝戰했다는 기록

 

[李朝實錄] - 英祖 74, 27(1751 辛未 / 청 건륭(乾隆) 16) 927(庚寅)

命祭高麗杜門洞七十二忠臣, 開城留守徐宗伋狀聞也又以御筆, 書下勝國忠臣今焉在, 特竪其洞表其節十四字, 命刊碑竪之

高麗의 두문동 72()의 충신(忠臣)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도록 명하였으니, 개성 유수 서종급(徐宗伋)의 장문(狀聞)으로 인한 것이었다. 또 어필(御筆)로서 고려 충신이 지금도 그 명성이 남아 있으니 특별히 그 동()에 세워 그 절개를 표창한다.[勝國忠臣今焉在 特竪其洞表其節]’는 열 네 글자를 써서 내리고 비()에 새겨서 세울 것을 명하였다.

高麗王朝 인사들의 명예가 회복되던 시기 : 현종, 숙종, 영조, 정조

 

[淸史稿](朝鮮列傳)日使大鳥圭介首責朝鮮獨立

[淸史稿](朝鮮列傳)朝鮮為清屬國者凡二百五十有八年至是遂獨立自主國云

[李朝實錄] - 高宗 33, 32(1895 乙未 / 청 광서(光緖) 21) 510(庚辰)

若夫例年獨立慶日永久我國一大慶節을 삼아 臣民과 함 祝賀 規法이 다시 朕意臣民에게 諭告리라

연례(年例)로 할 독립 경축일(獨立慶祝日)을 정하여 영구히 우리나라의 하나의 경사스러운 큰 명절로 삼음으로써 짐이 신하와 백성과 함께 축하하는 규범에 대해서는 짐이 다시 짐의 뜻을 신하와 백성들에게 유시(諭示)하겠다.”

三田渡항복에 대한 李氏朝鮮獨立

[李朝實錄] - 고종실록 36, 고종 34816

蓋周王作興, 禮始定於成康之世, 漢帝創業, 元肇稱於文景之年乃於今年八月十六日, 祗告天地宗廟社稷, 建元 光武

대체로 주 나라가 일어난 후 예절은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의 시대에 처음 정비되었고 한() 나라가 나라를 세운 다음 문제(文帝)와 경제(景帝)의 연간에 연호를 처음으로 썼다. 올해 816일 삼가 천지의 신과 종묘 사직에 고하고 광무(光武)’라는 연호(年號)를 세웠다.

[李朝實錄] - 高宗 36, 34(丁酉 / 대한 광무(光武) 1) 1011(陽曆)

國家, 因箕子舊封朝鮮之名, 仍以爲號, 未始爲切當今於邦舊命新之日, 定有天下之號, 應合典則矣

우리나라는 기자(箕子)의 옛날에 봉()해진 조선(朝鮮)이란 이름을 그대로 칭호로 삼았는데 애당초 합당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나라는 오래되었으나 천명이 새로워졌으니 국호를 정하되 응당 전칙(典則)에 부합해야 합니다.”

檀君朝鮮

코리아 高麗國 고려국

KOREA

[李朝實錄] 高宗 36, 34(1897 丁酉 / 대한 광무(光武) 1) 1011(陽曆)

我邦乃三韓之地, 而國初受命, 統合爲一今定有天下之號曰大韓’, 未爲不可

우리나라는 곧 삼한(三韓)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하나의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李朝實錄] 고종실록 36, 고종 341013

奉天承運皇帝詔曰: "朕惟檀箕以來, 疆土分張, 各據一隅, 互相爭雄, 及高麗時, 呑竝馬韓辰韓弁韓, 是謂統合三韓

봉천 승운 황제(奉天承運皇帝)는 다음과 같이 조령(詔令)을 내린다. 짐은 생각건대, 檀君箕子 이후로 강토가 분리되어 각각 한 지역을 차지하고는 서로 패권을 다투어 오다가 高麗 때에 이르러서 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을 통합하였으니, 이것이 삼한(三韓)’을 통합한 것이다.

 

* 始祖(全州 李翰), 高宗(全州 李熙)三韓無關

* 三韓正統論 (箕子朝鮮 - 馬韓)

* 高麗 = 高句麗

檀君朝鮮

Empire of KOREA

有戰時作戰權

安淑

DAEHAN Empire

 

全州李熙

 

日韓合倂條約

1910822

[李朝實錄] - 순종 4, 3(1910 경술 / 대한 융희(隆熙) 4) 822

二十二日韓倂合條約案國務大臣外皇族代表者及文武元老代表者會同御前會議

한일합병조약안(韓日倂合條約案)에 대하여 국무대신(國務大臣)외에 皇族대표자 및 문무원로의 대표자들이 회동(會同)하여 어전회의(御前會議)를 열었다

 

朝鮮總督府官報 1910.8.29

韓國國號爾今 朝鮮이라 이라.

己未 獨立 宣言書

朝鮮建國 425231

 

2인터내셔널 191989

1차 극동노력자회의 19222

 

朝鮮共和國

(Republic of KOREA)

 

高麗共産黨

河濱李東輝

朴憲永 金科奉 呂運亨 曺奉岩

金若水 朝鮮共産黨 金在鳳

尹在根 朱潤昌

朝鮮建國同盟 朝鮮獨立同盟

大韓共和國

全州李承晩

檀君朝鮮

Empire of KOREA

安淑

檀君朝鮮義勇軍

(Korean Volunteers Army)

金枓奉 金武亭

 

中國義勇軍

(Chinese Volunteers Army)

中國人民解放軍

全州李氏朝鮮總督府

Kingdom of DAEHAN

全州李垠

(李方子)

세계 이차 대전 패전

(항복문서)

昭和天皇 (裕仁 히로히토 국왕) - 日本國王

1945815

阿部 信行 (아베 노부유키) - 全州李氏朝鮮總督府

194599

全州李承晩

朝鮮建國準備委員會

朝鮮人民共和國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咸陽 呂運亨

檀紀 4278 年度 0906 月日

 

매일신보

檀紀 4278 年度 1001 月日

咸陽 呂運亨

단군 이래의 고유명사인 朝鮮으로 하기로 결정되었다


국제연합결의문 112 (2)

North and south Korea, and (c) arrange with the occupying Powers for the complete withdrawal from Korea of their armed forces as early as practicable and if possible within ninety days

(14 November 1947)

()自北朝鮮及南朝鮮軍政當局接收政府職權 及

()與各占領國洽商辨法, 於最短可行期內自朝鮮境內完全撤退各該軍隊, 如屬可能, 儘九十日內爲之



 

檀君朝鮮

Empire of KOREA

安榮植

 

朝鮮共和國

The Republic of Korea

有戰時作戰權

檀紀 4281 年度 0815 月日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檀紀 4281 年度 0909 月日

DAEHAN MINGUK

全州李垠


덧글

댓글 입력 영역